1979년 10월 26일
서울 종로구 궁정동 중앙정보부 안가에서 신재순, 심수봉등과 만찬 도중에 중앙정보부 부장 김재규가 박정희를 권총으로 살해, 경호실장 차지철을 처치한다.
김재규가 왜 살해했는가는 3가지 설이 있으나 확실한 것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그 당시에 시대적 상황을 먼저 살펴보도록하자.
1961년 5·16 군사쿠데타로 집권한 박정희는 18년간 장기집권을 이어간다. 특히 헌정 질서를 파괴하면서 1972년 10월에 유신체제는 억압적인 비민주적 정치를 심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결국 1970년대 후반으로 넘어 오면서 그 동안의 정치·경제적 모순들이 폭발하기 시작하였다.
경제적으로는 중화학공업에 대한 무리한 투자로 상황이 악화되고 있었다. 중복, 과잉 투자로 인한 효율성 상실과 소비재 품목 품귀라는 이중의 문제를 야기하였다. 이는 곧 인플레이션으로 연결되었는데, 1979년의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한국경제의 고성장 전략 추진과정에서도 그 유례가 없는 18.3%에 달하였다.
고도성장으로 1인 장기집권의 정당성을 보상받으려 하였지만 독재와 인플레이션 등으로 인해 민심은 체제로부터 등을 돌렸다. 또한 수출주도형 공업화에 의한 고도성장 전략은 노동자와 농민의 상대적 희생을 전제로 한 것이었는데 경제 위기의 심화 과정에서 이들 계층의 소외감도 점차 심화됨으로써 그들의 생존권 요구도 거세어졌다.
대외적으로는 1977년에 출범한 미국의 카터(Carter, J.) 행정부는 출범 직후부터 미군철수라는 카드를 이용해 한국의 인권상황을 개선하려 하였으나 박정희 대통령은 이를 거부해 한·미간의 갈등이 증폭되었다. 또한 박정희는 자주국방을 달성하기 위하여 핵무기를 개발하려고 시도하면서 미국을 자극하였다.
이에 박동선(朴東宣) 사건까지 겹쳐 한·미관계는 최악의 상황까지 치달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재야세력과 야당은 반 독재 민주화 운동과 민중의 생존권 투쟁을 계속 전개해 나갔다. 1972년 유신체제 출범부터 긴급조치와 계엄, 재야인사의 구속 등이 계속되었으나 민주화의 방향을 거스를 수는 없었던 것이다. 특히 1978년과 1979년은 정치·경제적 모순이 정치적 위기로 연결된 시기였다.(한국민족문화대백과)
그 해에 부산과 마산에서 부마항쟁이 일어나면서 비상계엄이 선포되는 등 혼란의 때였다.
김재규가 체포되어 사형을 당하기까지 그가 남긴 말이 있다.
"저의 10월 26일 혁명의 목적을 말씀드리자면 다섯 가지입니다.
첫 번째가 자유민주주의를 회복하는 것이요,
두 번째는 이 나라 국민들의 보다 많은 희생을 막는 것입니다.
또 세 번째는 우리 나라를 적화로부터 방지하는 것입니다.
네 번째는 혈맹의 우방인 미국과의 관계가 건국이래 가장 나쁜 상태이므로 이 관계를 완전히 회복해서 돈독한 관계를 가지고 국방을 위시해서 외교 경제까지 보다 적극적인 협력을 통해서 국익을 도모하자는 데 있었던 것입니다.
마지막 다섯 번째로 국제적으로 우리가 독재 국가로서 나쁜 이미지를 갖고 있습니다. 이것을 씻고 이 나라 국민과 국가가 국제 사회에서 명예를 회복하는 것입니다.
이 다섯 가지가 저의 혁명의 목적이었습니다."
"국민 여러분, 민주주의를 만끽하십시오"
김재규는 무슨 생각으로 그런 행동을 하였을까?
다음은 김재규가 사형을 언도받고 처형되기 며칠 전 교도관에게 남긴 최후 증언의 일부이다.
또한 내 뒤에는 미국이 있다고도 했다.
그는 거사 몇 일전에 CIA한국지부장을 만난일이 있다.
자주국방을 위해서 핵무기 개발에 대한 부분에서도 미국과 마찰이 있었던터라
그래서 미국이 개입했다는 의혹이 있다.
차지철과의 힘겨루기에서 밀리면서 계획적으로 암살했다는 설도 있다.
정리를 하자면,
1)김재규의 변론에서 보듯이 18년 장기집권의 막을 내리게 해서 민주주의를 확립하기 위한 혁명이었다.
2)미국과의 외교마찰등에 의해 미국이 개입하여 살해케했다.
3)권력 싸움 과정에서 발생한 일이다.
'시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MB 자원외교, 해외 자원개발사업에 대한 나의 생각 (0) | 2014.10.24 |
---|---|
집회, 시위 소음 규제 강화 (0) | 2014.10.23 |
내가 아는 대한민국... (0) | 2014.10.22 |
4대강 사업과 큰빗이끼벌레 (0) | 2014.10.22 |
공무원연금 개혁을 바라보는 일반인의 시각-1 (1) | 2014.10.22 |